협박죄 구성요건 분석. 형법상 협박죄의 핵심인 '해악고지'가 성립하지 않음을 입증했습니다. 의뢰인의 온라인 게시글이 구체적인 해악을 가하겠다는 의사표시가 아닌 단순한 감정 표현임을 명확히 제시했습니다.
표현의 자유 범위 제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개인적 감정 토로가 표현의 자유 범위에 해당함을 논증했습니다. 형사처벌과 표현의 자유 간의 균형점을 체계적으로 제시했습니다.
공소사실의 특정성 부족. 검찰이 제시한 공소사실이 협박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에서 특정성이 부족함을 지적했습니다. 막연한 혐의로는 형사처벌 근거가 될 수 없음을 입증했습니다.
피해 대상의 불명확성.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표현으로 협박죄의 피해자 특정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함을 강조했습니다. 구체적 피해자 없이는 협박죄가 성립할 수 없다는 법리를 적용했습니다.